
우리가 콘솔 창에서 어떠한 식을 입력 후, 결괏값이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해서 console.log 명령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항상 맨 아래에 undefined가 뜨는데 그 이유는 무엇일까? 목차 결괏값으로 undefined가 반환되는 이유 undefined와 null의 차이점 null 값 확인 방법 undefined와 null 정리 1. 결괏값으로 undefined가 반환되는 이유 undefined가 식의 결괏값으로 반환되는 이유는 간단하다. undefined는 반환할 결괏값이 없을 때 나오는 것인데, console.log 명령어는 어떠한 값이 보이도록 출력하는 역할만 할 뿐 그 자체의 결괏값은 없다. 때문에 undefined가 반환되는 것이다. 2. undefined와 null의 차이점 그..
자바스크립트에서 사용하는 반복문에는 두 가지가 있다. 바로 while 문과 for 문이다. 보통 for 문이 더 간결하지만, 무한 반복문을 표현할 때는 while 문을 사용하는 게 더 간결하다. 목차 for 문 형식 for 문 실행 순서 while 문과 for 문의 비교 for 문에서 break 문으로 반복 멈추기 for 문 형식 for 문 형식은 아래와 같다. 우선 '시작'에서 변수 선언을 해준다. for (시작; 조건식; 종료식) { 실행문; } for 문 실행 순서 ①'시작' 부분에서 변수가 선언되면 ②그 변수를 사용한 조건식이 실행된다. ③조건식이 참이라면 ④실행문과 종료식이 순서대로 실행된다. ⑤다시 조건식으로 돌아간다. ⑥조건식이 성립하지 않을 때까지 실행문과 종료식이 반복 실행된다. whil..

우리가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하면서 조건문만큼 많이 사용되는 게 반복문이다. 이번에는 반복문 중에 하나인 while 문에 대해 알아보자. while 문은 조건식이 참인 경우 실행문을 무한반복 실행한다. 목차 while 문 형식 While 문의 무한 반복 While 문의 반복 중지 while 문 형식 while 문의 형식은 아래와 같다. while (조건식) 실행문; // 실행문이 여러 개인 경우 while (조건식) { 실행문1; 실행문2; } While 문의 무한 반복 앞서 말했듯이 while 문은 조건식이 참일 경우 실행문이 무한으로 실행된다. 이 경우 브라우저가 while 문을 처리하느라 과부하가 걸린다. 브라우저가 먹통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기 위해 while 문을 제대로 ..
조건문에는 대표적으로 if문과 switch문이 있다. 문이 아닌 식으로 분기를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이 있는데 바로 조건부 (삼항) 연산자이다. 보통 if문의 단축 형태로 쓰인다. 조건부 연산자는 자바스크립트에서 유일하게 피연산자가 3개 필요한 연산자이다. 조건부 연산자의 형식은 아래와 같다. 목차 조건부 연산자 형식 if 조건문 대체 조건부 연산자의 중첩 조건부 연산자 형식 조건식 ? 참일 때 실행할 식 : 거짓일 때 실행할 식 1 < 3 ? '참' : '거짓'; // 참 if 조건문 대체 if 조건문을 조건부 연산자 형태로 변경할 수 있다. let bool = true; if (bool) { console.log('참입니다.'); } else { console.log('거짓입니다.'); } // 참입니..
switch문은 if문과 마찬가지로 조건에 따라 실행 여부가 정해진다. 이 두 가지 문은 무슨 차이점이 있는지 알아보자. 우선 switch문의 형식은 아래와 같다. switch (조건식) { case 비교 조건식: 실행문; } switch문은 조건식이 비교 조건식과 일치하면 실행된다. 조건식에 변수를 넣었다면, 비교 조건식에는 그 변수와 비교할 값을 넣는다. let color = 'red'; switch (color) { case 'red': console.log('참입니다.'); } // 참입니다. if문에서 else if를 사용하여 여러 조건식을 사용하는 것처럼 switch문에서도 비교 조건식을 여러 개를 사용할 수 있다. 비교 조건문이 여러 개일 경우 어떻게 결과가 출력될까? switch문에서는 조..
변수를 만드는 행위를 '선언'이라고 하며 let, const, var로 '선언문'을 만든다. 이번에 알아볼 또 다른 문으로 '조건문'이 있다. 조건문은 조건에 따라 코드를 실행하거나 실행하지 않는다. 조건문의 형식은 다음과 같다. // 기본형 if (조건식) 실행문; // 실행문이 2개 이상일 경우 if (조건식) { 실행문1; 실행문2; } 실행문이 여러 개라면 중괄호로 한 번 감싸주면 된다. 실행문이 하나일 때는 중괄호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지만, 헷갈리는 걸 방지하기 위해 중괄호로 감싸주는 걸 추천한다. 조건식이 true 값을 가지면 내부에 있는 실행문이 실행된다. 반면 조건식이 false 값을 가지면 내부에 있는 실행문이 실행되지 않는다. if (ture) console.log('참입니다.'); /..
$(selector).each(function(index,element)) - 일반적인 방식 *return false를 사용하여 반복을 중지시킬 수 있다. $.each( array, callback ) - 유틸리티 방식 - $.each() 함수는 단독 객체를 반복하는 $(selector).each() 와 다르다. - 이 방식은 객체든 배열이든 모두 사용 가능하다. 참조 api.jquery.com/jquery.each/ www.w3schools.com/jquery/misc_each.asp

작업을 할 때 무의식적으로 var로만 변수를 선언하다가, let이나 const라는 변수를 보면 의아할 것이다. 도대체 왜 변수를 구분해서 쓸까? 사실 ES6 이전에는 let과 const가 존재하지 않았다. ES6에서 let과 const가 추가되었는데 차이점과 사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목차 Scope란? var, let, const 비교표 var의 문제점 var과 let의 재선언과 재할당 var과 let의 참조 function scope와 block scope Scope란? Scope란 변수의 유효 범위를 말한다. 선언한 변수가 어디까지 영향을 줄 수 있냐는 말이다. ES6부터 변수에도 종류가 생겼는데 각 변수에 따라 성격이 다르다. var, let, const 비교표 var let const 재..